병인양요와 신미양요가 조선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병인양요랑 신미양요가 조선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또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때
병인양요랑 신미양요가 조선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또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때 조선이 외세를 각각 어떻게 대응했는지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ㅜㅜ 급해요,,,!,ㅜㅜ
군사적 충격: 프랑스가 강화도를 공격해 일시 점령했으나 조선 군민의 강한 저항에 퇴각
서양 세력의 침입 현실화: 조선은 처음으로 서양 열강의 무력 침범을 경험
천주교 탄압 강화: 외세의 침입을 핑계로 천주교 탄압이 더욱 심해짐
대외 인식 변화: 서양과의 마주침이 더욱 현실적 위협으로 인식되기 시작
군사적 저항: 강화도 주민과 군인이 적극적으로 프랑스군에 저항하여 패퇴시킴
외교적 고립 유지: 여전히 서양과의 외교를 거부하며 쇄국 정책 강화
내부 결속 강화: 천주교 탄압과 함께 내부 질서 확립에 집중
군사적 피해: 조선군은 미국군의 강력한 무기에 밀려 패배
조선군 근대화 필요성 인식: 서양 군사력에 대한 위기감 증가
개항 압박 가중: 미국을 비롯한 서양 열강이 조선에 개항과 통상 요구를 강화
외교 정책 변화의 단초: 이후 점차 서양과의 관계 변화 모색 시작
군사 방어 시도: 강화도에서 군사적으로 맞섰으나 열세
쇄국 유지: 전쟁 이후에도 서양과의 교류를 극도로 제한하려는 정책 유지
군사력 강화 필요성 자각: 일부 지식인과 관료들 사이에서 군사 근대화 논의가 시작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