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모르겠어요 안녕하세요 이제 중 2인 여학생입니다전 어릴때부터 유독 이것저것 다양한 활동을
안녕하세요 이제 중 2인 여학생입니다전 어릴때부터 유독 이것저것 다양한 활동을 하고싶어했고 특히 무언갈 만들거나 악기를 연주하거나 운동을하는것처럼 몸이나 손을 움직이는일에 전반적으로 흥미를 느꼈습니다책읽는것도 재미있어하긴 했습니다 소설이나 문학작품만 골라읽는게 좀 식했지만요...ㅎㅎ이제 시험이 일주일남았는데 중2되면서 처음보는 과목인 역사도 시험을 보고 중간고사도 어리버리하게 넘어가고 그래서 기말도 역시나 흐지부지되었는데1학년땐 정말정말 열심히해서 평균이 95점은 넘게 나왔었거든요...첫시험인데도....근데 오히려 중2되면서 긴장감이 느슨해진건지 성적이 더 떨어졌습니다현실적으로 하고싶은것만 하며 살아갈 수 있는것도 아니고 하고싶은걸 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이 공부라는걸 알지만 그게 마음은 잘 안따라주는건지 공부에대한 열정도 생기질 않습니다...오히려 줄어든느낌이에요진로에대한고민도 부쩍 늘어서 머릿속이 시끄럽고 복잡할때가 많아요그렇다고 공부가 재미없는건 아니지만 공부보다 재밌는일들이 너무너무 많고 하고싶은일도 아직 너무 많아요제 정신에비해서 나이를 너무 빨리먹어버린 느낌이에요모르겠어요 정말 시험을 잘 보고싶은건지 어느길을 가야할지 내 목표가 맞는건지 이래도 되나싶고요또 쓴소리들으면 싫다고 귀를 막아버리는 저도 싫습니다하지만 잘 고쳐지지 않아요..쓴소리도 듣고 제 모난점도 인정하고 수용해야 더욱 성장할수 있단걸 알면서고 고치기는 너무나도 힘들어요인간관계에 대해서 고민과 스트레스도 계속되니깐 더 힘들어요 이런곳에 에너지를 쏟아붓는게 아깝단걸 알면서도요머리는 알지만 마음은 따로노는...그게 심한거같아요전 앞으로 어떡하면좋죠하고싶은일을 하는 시간과 공부시간의 경계가 딱 있어야하는데 잘 생기지도 않고...제가 문과인지 이과인지 모르겠어요..솔직히 사람이 잘 하는 공부의 분야를 딱딱 두개로만 나눈다는것도 이상해요 이과 과목 한개 문과 과목 한개 이런식으로 잘할수도 있는거잖아요꿈을 가져도 실현성이 좀 떨어져보인달까...꿈은 꿈대로 현실은 현실대로 놔둬야 뭔가 열정이 불타오를텐데 꿈이 생기면 현실에 가로막혀서 그게 제 마음속에 뿌리내리기도 전에 뽑혀버리는 느낌이에요..하 모르겠어요 제 인생제 친구들 힘든이야기나 고민 들어보면 저는 꽤나 운이 좋게도 시야가 트여있고 저를 정말많이 존중해주시고 사랑해주시는 부모님과 그렇게 못살지 않는 평범한 집에서 테어났더라구요 부모님이 이거해라 저거해라 이런소리도 안하시구요 특히 공부는 더더욱 강요하지 않으세요 성적을 잘받아오라고 하신적도 없구요근데 오히려 너무 너그러우시니까 제가 불안해져요이런게 맞는걸까요 시험도 80점 후반대나온거면 잘 못본건데 그래도 잘봤다고 해주시는 부모님께는 감사하지만 저는 너무 불안해져요 뒤쳐지는거같구요근데 또 이런 불안감이 그렇게 크진 않아서 공부를 해도 막 엄청 열정적으로 하게되는것도 아니고..모르겠어요작년에 제가 다니는 성당에서 스터디룸?이런걸 운영했었는데 거기서 계시던 교리쌤이 시험은 처음부터 너무 잘보면 재미없다고 차근차근 느는거라고 하셨던 말씀이 기억나네요 제가 처음부터 중1시험이라는걸 간과하고 성적만 잘나왔다고 좋아해서 이렇게된걸까요사실 무슨조언을 듣고싶은지도 모르겠어요 아무것도 모르겠어요그냥 털어놓을곳은 없고 답답해서 여기에라도 써봅니다
이과하고 문과라는 구분이 사실 대학 학과 구분하고도 안 맞습니다. 문과적 지식과 이과적 지식을 모두 요구하는 학과도 있습니다. 공부에 있어서는 최소한 학교 수업 시간에는 집중해서 공부한다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복습을 중심으로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또 진로를 찾는 것은 어려운 일이기는 한데 일단 여러 경험을 하고 아예 불가능할 것 같은 분야는 제외하는 식으로 찾아나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대학 입시에는 중학교 성적은 안 들어가니 시험 잘 못 본 것보다도 실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역사는 그래도 한국사가 수능 필수인 이상 어느 정도는 공부하는 게 좋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