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정부가 항모 반대해온 이유가 있나요? 윤석열 전 정부가 국방예산 삭감을 왜 많이 한거죠?“추경 위해 무기
윤석열 전 정부가 국방예산 삭감을 왜 많이 한거죠?“추경 위해 무기 살 돈도 깎았다”… 국방비 또다시 삭감된 이유 [박수찬의 軍] | 세계일보그리고 항공모함, 핵잠수함, 합동화력함 도입을 백지화한 이유가 있을까요?김대중·노무현·문재인 공통점은 强軍…도대체 왜? - 노컷뉴스국방예산 더 늘린 정부는 오히려 민주당 정권때인 이유가 있을까요?그리고 보수정권이 국방예산을 삭감하는 이유가 무엇이고, 군사력을 약화시키는게 일본의 심기를 건드리지 않기 위해서라는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윤석열 전 정부의 국방예산 삭감과 항모·핵잠 백지화 이유를 물으셨는데요. 간결히 정리해보겠습니다.
윤석열 정부는 출범 직후부터 문재인 정부의 국방사업에 반대 입장을 취했습니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경항공모함, SLBM, 자주국방 정책은 모두
국방전략이 아닌 정치적 차별화의 대상이 됐습니다.
윤 정부는 국방전략이 아니라, 문재인 정부가 추진했다는 이유만으로도 반대하는 경향을 보였죠.
재정 문제 — ‘용산 이전’과 무리한 감세의 후폭풍
윤석열 정부가 취임 직후 가장 먼저 한 일은 국방부 청사로 대통령실을 이전한 것이었습니다.
게다가 법인세 감세를 추진하고, 대규모 추경을 편성하면서 생긴 세수 부족은
결국 국방예산까지 손대는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용산 대통령실 홍보, 순방행사 경호비용 등에도 거액을 지출했습니다.
정작 군사력 강화에는 소극적이면서, 정치적 홍보와 이벤트엔 예산을 아끼지 않았다는 비판이 나올 만합니다.
윤석열 정부가 일본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과정에서
일본이 민감해할 수 있는 항모·핵잠 사업엔 소극적이었다는 관측도 있습니다.
이는 공식화된 정책은 아니지만, 정황상 무리한 해석이라고만은 볼 수 없습니다.
윤석열 정부의 국방예산 삭감은 단순히 돈이 없어서가 아니라,
“보수는 안보에 강하다”는 명제는 이번 사례에서 증명되지 않았다는 게 중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