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 전형.... 가능할까요??ㅜㅜ 초, 중, 고 12년간 농어촌 전형 해당되는 학교에 재학한 현
초, 중, 고 12년간 농어촌 전형 해당되는 학교에 재학한 현 고3입니다 중학생 때 부터 당연하게 농어촌 전형이 가능할 거라 생각했는데입시 준비하며 주소지까지 농어촌지역에 거주해 있어야 한다는 걸 알았습니다근데 제가 집안 사정이 있는데 혹시나 해서 등본때서 확인 해봤더니 현 주소지가 부모님 밑인 부산광역시 해운대구로 되어있더라구요...이거 농어촌 전형 안되는 거겠죠...? 학교는 농어촌 전형으로 12년 채울 수 있는데 방법이 없을까요?
질문자님의 상황에 대해 깊이 공감하며, 어려운 와중에 입시를 준비하고 계신 점에 응원의 말씀을 전합니다.
안타깝지만, 질문자님께서 파악하신 바와 같이 현재 주민등록등본상 주소지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로 되어 있다면 농어촌 전형 자격 요건을 충족하기 어렵습니다.
농어촌 전형의 가장 핵심적인 조건은 학생 본인의 학교 재학 기간과 학생 및 부모님의 거주지(주민등록상 주소지)가 모두 농어촌 지역(읍·면)에 해당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농어촌 전형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지만, 두 유형 모두 거주지 요건이 포함됩니다.
* 유형 I (중·고등학교 6년): 중학교 입학일부터 고등학교 졸업일까지 학생과 부모 모두가 농어촌 지역에 거주해야 합니다.
* 유형 II (초·중·고등학교 12년): 초등학교 입학일부터 고등학교 졸업일까지 학생이 농어촌 지역에 거주해야 합니다. (이 유형은 부모의 거주 조건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대학이 12년 재학 기간 동안 학생의 거주지 조건을 요구합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학교는 농어촌 지역에 재학했지만,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라는 도시 지역으로 되어 있어 농어촌 전형의 핵심 요건인 거주지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농어촌 전형으로 지원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몇 가지 확인해 보실 사항을 알려드립니다.
* 대학별 모집요강 확인: 대학마다 농어촌 전형의 세부 자격 기준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거주지 조건을 다르게 해석하는 대학이 있을 수 있으니, 희망하는 대학의 2025학년도(또는 2026학년도) 수시 모집요강을 반드시 직접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특히, "농어촌 전형 지원자격 확인서" 등 제출 서류를 꼼꼼히 살펴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학교 선생님과 상담: 재학 중인 고등학교의 담임 선생님이나 진로진학 상담 선생님께 현재 상황을 말씀드리고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선생님께서는 해당 학교의 졸업생 중 유사한 사례가 있었는지, 또는 특정 대학의 경우 예외 조항이 있는지 등 더 정확한 정보를 알고 계실 수 있습니다.
* 다른 특별전형 및 일반전형 고려: 농어촌 전형이 불가능하더라도, 다른 특별전형이나 수시 일반전형, 또는 정시 전형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길은 충분히 열려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내신 성적, 모의고사 성적, 그리고 기타 활동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다른 전형들을 준비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 상황이 무척 속상하고 힘드시겠지만, 농어촌 전형만이 유일한 방법은 아닙니다. 남은 기간 동안 다른 입시 전략을 세워 좋은 결과를 얻으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시길 바랍니다. 힘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