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3년생 남자 입니다.현재 경력은 중견기업 품질검사 2년7개월방화문 시험 업체에서 1년이고 올해 1월달까지 근무하고 어찌어찌해서 폴리텍 전문기술과정 들어와 산업설비쪽으로 배우고있습니다가지고 있는 자격증이라곤 정밀측정산업기사,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지게차운전기능사, 운전면허1종보통Iso17025 교육수료 측정불확도 공통 교육수료에너지관리기능사 필합/실기 9월달 시험온수온돌기능사 필기면제/실기 9월달 시험Co2 용접기능사 필합/실기 9월달 시험 이정도구요지금 상황은 국민취업지원제도로 월 수당 50만원씩 받으면서 배우고있는데 현재 경제적으로 쪼달려서 당장 안정적인 수입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현재 중견기업 품질검사 입사제의가 들어와 고민중에 있습니다 로드맵을 그려봤는데 입사제의 된 곳에 우선 입사 후 안정적인 기반을 다지고 자격증(공조,에너지,산기 등)취득 후 3년5년 뒤에 대기업 시설관리직이라던지 공기업 기술직을 노려보고싶은데 관련 경력이 인정이 되는지 여쭙고싶습니다. 아니면 다른 루트가 있다면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현재 상황에서는 중견기업 품질검사 경험이 시설관리 및 에너지 관련 직무로 어느 정도 인정될 수 있으며, 3~5년 후 대기업 또는 공기업 지원 시 경력으로 활용 가능합니다. 특히, 산업설비, 에너지관리, 온수온돌기능사, CO2 용접기능사 등 자격증과 관련 경험이 있으므로 이를 적극 활용할 수 있습니다.
대기업 또는 공기업에서 시설관리직 또는 에너지 관련 직무를 목표로 할 경우, 관련 자격증(공조, 에너지관리사, 산업설비기사 등)을 추가 취득하는 것이 경쟁력을 높이고, 관련 실무경력을 쌓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와 함께, 현 직장에서의 경험을 차곡차곡 쌓으며 점차 전문성을 키우는 것이 유리합니다.
다른 루트로는, 먼저 국민취업지원제도 등을 활용하여 관련 전문성을 더 높이고 병행하여 취업 후 빠르게 자격증을 취득하는 전략도 유효합니다. 또한, 산업안전기사, 에너지관리기사, 산업설비기사 등 관련 기술 및 자격증 취득에 집중하는 것도 좋습니다.
- 현재 경험과 자격증은 관련 분야에서 어느 정도 인정됩니다.
- 대기업 또는 공기업 진출을 위해서는 관련 자격증(에너지관리기사, 산업설비기사 등)을 추가 취득하는 것이 도움이 됨.
- 지속적 실무 경험 축적과 자격 증명서 강화가 중요.
- 안정적 수입 확보 후, 전문성 강화 및 자격증 취득 전략 추천.
필요하면 구체적인 자격증 취득 계획이나 경력 개발 방향도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