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인도가 항공모함을 보유 하게 돤 배경 인도는 자체적인 항공모함 제조 기술을 보유한 기존의 유엔 상임 이사국들
인도가 항공모함을 보유 하게 돤 배경 인도는 자체적인 항공모함 제조 기술을 보유한 기존의 유엔 상임 이사국들
인도는 자체적인 항공모함 제조 기술을 보유한 기존의 유엔 상임 이사국들 과는 달리 해당 관련 기술이 전혀 없는 소위 제3세계권 국가 임에도 불구 하고 어떻게 해서 항공 모함을 보유 하개 되었나요? cont image
인도는 오래전부터 꾸준히 항모를 보유하면서 분쟁에서 잘 써먹었습니다.
한때 영국의 식민지였던 인도는 영국의 영향을 많이 받앗는데요..2차대전중에 건조한 영국의 항모를 전후에 인수하였는데요 마제스틱급 항공모함 허큘리스를 1961년에 인수하여 INS 비크란트로 명명한 후 운용하였습니다. 이 항모를 1971년 방글라데시 독립전쟁에서 파키스탄군을 공격하기 위해 출격시켜 파키스탄군이 미처 예상못한 동부내륙지역에 있는 공항과 군사기지를 성공적으로 폭격하였고 이 영향으로 인도는 인도-파키스탄 분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었습니다. 이때 인도는 항모를 이용한 기동함대의 유용성을 확인하였고 그 후로도 꾸준히 항모세력을 유지했습니다. 당시 건조할 기술이나 역량은 없었지만 주변국과의 분쟁에서 활용하기 위해 영국의 허미즈급을 수입하여 비라트로 명명한 후 사용하였고 이들 항모가 퇴역한 후에는 2004년에 러시아로부터 키예프급 수입한 후 개조하여 비크라마디티야함으로 명명하여 운용하였습니다. 현재는 이탈리아의 조선회사 핀칸티에리에 의뢰하여 설계한 비크란트급 항모를 인도내의 코친조선소에서 건조하여 운용하고 있습니다. 건조를 인도내 조선소에서 했기 때문에 상당한 건조 기술을 습득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기존에는 기술이 없어서 타국의 중고 항공모함을 들여와서 사용했지만 꾸준히 운용하는 과정에서 노하우를 습득하여 결국에는 이탈리아의 기술을 빌리기는 했지만 직접 항모를 건조하는 단계까지 발전한 것이지요. 인도은 다양한 항모를 운용하면서 수직이착륙기인 해리어를 운용하기도 했고 현재는 러시아 방식인 미그-29k를 스키점프 방식으로 운용하고 있습니다.
적대국인 중국이 대형항모를 지속적으로 건조하고 있기 때문에 거기에 맞춰 인도도 항모를 계속 운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인도해군은 항모 2척 체제로 운용하고 있었으며 현재도 그 체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