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북쪽 지역이 위도에 비해 따뜻한 기후를 유지하는 데는 북대서양 해류와 멕시코만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들었습니다. 이 해류들이 어떻게 유럽의 기후에 영향을 미치며, 왜 이러한 해류가 유럽의 온난화에 필수적인지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해류는 해양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는 물의 흐름입니다.
해류는 지구상의 **열(열에너지)**을 이동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적도 근처에서 데워진 물이 고위도로 이동하면, 해당 지역의 기온을 올리는 효과가 있습니다.
멕시코만류는 멕시코만에서 시작해 북대서양을 따라 유럽으로 흐르는 따뜻한 해류입니다.
북쪽으로 이동하며 대서양을 가로질러 유럽 서해안과 북유럽에 열 전달.
스칸디나비아 북쪽이나 영국 등 위도가 높음에도 눈보다는 비가 내리는 경우가 많음.
3️⃣ 북대서양 해류(North Atlantic Drift)
북대서양 해류는 멕시코만류가 북대서양을 따라 유럽으로 흐르면서 만들어진 지류라고 볼 수 있습니다.
멕시코만류에서 나온 따뜻한 물이 북동쪽으로 이동.
겨울철 기온이 같은 위도의 캐나다나 시베리아보다 10~15°C 정도 높음.
해안 근처에서 연평균 기온을 상승시키고 해양성 기후 유지.
4️⃣ 왜 유럽이 따뜻한가? (대기와 해류의 상호작용)
따뜻한 해류가 대기와 접촉하면서 해안 지방으로 열을 전달.
유럽은 **편서풍(Westerlies)**이 주류.
북대서양 해류에서 전달된 따뜻한 공기가 편서풍을 타고 내륙으로 이동, 북유럽까지 온난화에 기여.
해류가 약화되거나 멈추면 유럽 북부는 급격히 추워질 수 있음.
역사적으로 빙하기 말기나 소빙하기 일부 지역에서는 해류 변화로 온도가 떨어짐.
→ 같은 위도에서도 해류가 있으면 훨씬 따뜻해짐.
멕시코만류(Gulf Stream) → 북대서양 해류(North Atlantic Drift) → 유럽 서해안으로 따뜻한 해수 이동
편서풍이 따뜻한 해수에서 올라온 공기를 내륙으로 운반
해양성 기후 형성으로 겨울에도 위도 대비 온난
즉, 북대서양 해류와 멕시코만류가 없으면 유럽 북부는 현재보다 훨씬 추운 기후가 됨.